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홍보자료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개발협력
  4. 개발협력정책 및 현황
  5. 홍보자료
글자크기

[보도자료] ‘24년 한국 공적개발원조(ODA) 39.4억불 지원

작성일
2025-04-17
수정일
2025-04-18
조회수
113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개발원조위원회(DAC)가 16일(한국시각 22:30) 발표한 공적개발원조(ODA) 잠정통계에 따르면 ’24년도 우리나라 ODA 실적은 전년 대비 7.8억불(24.8%) 증가한 39.4억불로 나타났다.


ㅇ 이와 함께 경제규모 대비 ODA 지원 규모를 나타내는 국민총소득 대비 공적개발원조(ODA/GNI) 비율은 0.21%로 우리나라가 DAC에 가입한 201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 ’24년도 ODA 지원실적의 증가는 전년 대비 원·달러 환율 변동이 증가* 하였음에도, 양자원조(31.8억불) 실적이 전년대비 크게 증가(37.0%)한데 기인한다. 특히, 양자원조는 무상원조(22.2억불) 및 유상원조(9.6억불) 모두 고르게 증가하여 전체 ODA 지원실적 증가를 견인했다. 


   * 원·달러 적용환율(증가율) : (’22) 1,291.41(12.8%) → (’23) 1,306.01(1.1%) → (’24잠정) 1,363.53(4.4%)



□ 우리나라의 ’24년 ODA 총 지원규모는 39.4억불로 양자원조 31.8억불, 다자원조 7.6억불을 지원했다.


ㅇ 양자원조는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인도적 지원(+4.9억불), 수자원·위생·공공행정 등 사회분야 지원(+2.6억불), 교통 및 물류 등 경제 인프라 지원(+0.7억불) 증가 등으로 전년대비 37.0% 증가했다. 


ㅇ 다자원조*는 전년도 저소득·취약국의 코로나 대응 및 개발도상국의 경제회복 지원 등으로 일시 확대되었던 세계은행(WB)에 대한 출자·출연 감소 등으로 전년대비 9.5%(△0.8억불) 하락했다.


   * 다자 지원실적 : (’22) 5.9억불(△16.4%) → (’23) 8.4억불(+41.9%) → (’24잠정) 7.6억불(△9.5%)


□ 전체 32개 회원국 중 우리나라 지원 규모 순위는 전년(14위)대비 상승한 13위로 나타났으며, 경제규모 대비 ODA 지원 규모를 나타내는 국민총소득 대비 공적개발원조(ODA/GNI) 비율은 0.21%로 전년에 비해 0.04%p 증가하여 26위를 기록했다. 


ㅇ 한편, OECD DAC 32개 회원국*의 총 ODA 지원규모는 2,121억불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5.1% 감소**했다. 이는 대부분 회원국이 코로나19 대유행 및 우크라이나 난민 발생 등 연속적인 위기 극복을 위해 일시적으로 확대되었던 ODA 지원 규모를 축소한 데 기인한다. 


   * 주요 국가 ODA 지원실적(억불) : ▲미국 633(△2.1%), ▲독일 324(△14.5%), ▲영국 180(△5.8%), ▲일본 168(△14.4%), ▲프랑스 154(+2.5%) 등

   ** 양자원조 전년대비 4% 감소, 다자원조 전년대비 9% 감소


□ 정부는 ’25년 건전 재정 기조 속에서도 세계 10위권의 선진 ODA 국가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계속 이어 나가고자 ODA 예산을 6.5조원*으로 편성했으며, 동시에 성과관리에도 내실을 기할 예정이다.


   * ODA 예산(증가율) : (’23년) 4.78조원(21.3%) → (’24년) 6.26조원(31.1%) → (’25년) 6.50조원(3.8%)   

 ㅇ 정부는 향후에도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 노력에 적극 부응하고, ODA 추진을 통해 지속 가능한 협력 기반을 마련, 주요 협력국과의 상생의 국익을 실현해 나갈 계획이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개발전략·민간협력과
전화
02-2100-6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