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제공 : 주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의 최근 주요 경제 동향('25.03.06.-04.08.)
1. 주요 경제 동향
1) 금년도 1/4분기 GDP 성장률 : 6.3%
ㅇ 4.5(토) 개최된 세르다르 대통령 주재 화상 내각회의에서 금년도 1~3월 중 GDP 성장률은 6.3%로 보고됨.
* 분야별 성장률 : 산업 0.3%, 도소매 거래 9.9%, 건설 3.8%, 농업 4%, 교통통신 11.1%, 서비스 8.8% 등
2) 아르메니아·이란 등과 경제협력위원회 개최
ㅇ (제10차 투르크메니스탄-아르메니아 경제협력위원회 개최(3.26.)) 아르메니아 의 다비드 후다티안(David Khudatyan) 영토관리·인프라 장관과 투르크메니스탄의 바티르 아마노프(Batyr Amanov) 석유·가스 부총리는 아르메니아 예레반에서 제10차 경제협력위원회를 개최하여 교육·과학·스포츠·문화 등 분야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함.
※ 제9차 투르크메니스탄-아르메니아 경제협력위원회는 2022년 9월 13일 아시가바트에서 개최
- 아르메니아 측은 이란을 통한 스왑 형식 하 투르크메니스탄산 천연가스를 공급받는 방안에 대해 협상 중이며, 6~10억㎥의 천연가스를 수입할 계획이라고 함.
※ (참고) 2024년 투르크메니스탄-아르메니아 간 교역액 2,200만 달러(2023년 대비 100만 달러↑)
ㅇ (제18차 투르크메니스탄-이란 경제협력위원회 개최 계획) 이란의 파르자네 사데그 말바제르드(Farzaneh Sadeghi Malvajerd) 도로·도시개발부 장관과 투르크메니스탄의 라시드 메레도프(Rashid Meredov) 외교 부총리는 3.28.(금) 아시가바트에서 회의를 개최하여 금년 5월 말 이란 테헤란에서 제18차 투르크메니스탄-이란 경제협력위원회를 개최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함.
※ 제17차 투르크메니스탄-이란 경제협력위원회는 2023년 11.17-18. 아시가바트에서 개최
ㅇ (제8차 투르크메니스탄-루마니아 에너지 협력 실무위원회 개최(4.1.)) 루마니아 파벨 카시안 니툴레스쿠(Pavel-Kasian Nitsulescu) 에너지 담당 국무장관과 구반치 아가자노프(Guvanch Agajanov) 투르크멘 국영석유공사 회장은 아시가바트에서 제8차 투르크메니스탄-루마니아 에너지 협력 실무위원회를 개최하여 △에너지원 다양화 △석유·가스 수송 최적화 △재생에너지원 개발 등에 대해 논의함.
※ 제7차 투르크메니스탄-루마니아 에너지 협력 실무위원회는 2023년 10월 10일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에서 개최
3) 투르크메니스탄 미래투자 유치 국제포럼(IFT 2025) 개최(3.18.)
ㅇ 투르크메니스탄 미래투자 유치 국제포럼(IFT 2025)이 투르크메니스탄 산업·기업가연맹, 상공회의소 주관으로 3.18.(화) 아시가바트에서 개최되었으며, 러시아·중국·미국·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아제르바이잔·벨라루스·우크라이나·튀르키예·프랑스·독일·영국·에스토니아·네덜란드·아프가니스탄·사우디아라비아 등 16개국 대표단이 참석함.
- 노케르굴리 아타굴리예프(Nokerguly Atagulyev) 무역 부총리는 2024년 투르크메니스탄의 경제성장률을 6.3%로 발표하며, 2025년에 400억 7,000만 마나트(약 114억 달러, 공식환율 3.5마나트/$ 기준) 투자를 계획 중이며, 이 중 70%(263억 마나트(약 75억 달러))를 산업시설 건설에 배정할 예정이라고 언급함.
4) 미국, 투르크메니스탄産 수입품에 10% 관세 부과
ㅇ 미국은 4.5.(토)부터 투르크메니스탄을 포함한 우즈베키스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아르메니아産 수입품에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기로 함.
- 카자흐스탄産 수입품에 대하여는 4.9.(수)부터 27%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으며 이는 무역불균형 해소와 미국 경제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임.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현황: 중국(34%), 인도(26%), 한국(25%), 일본(24%), 말레이시아(24%) 등
ㅇ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BEA)에 따르면 미국의 2024년도 무역적자액은 9,184억 달러로 중국 2,954억 달러, EU 2,356억 달러, 멕시코 1,718억 달러, 베트남 1,235억 달러임.
ㅇ 지난 2023년 기준, 투르크메니스탄의 미국 수출액은 610만 달러로 거의 미미한 반면, 투르크메니스탄의 미국으로부터 수입액은 83백만 달러였음.
* 통계 출처: 투르크메니스탄 통계위원회(2023년 투르크메니스탄 통계)
5) 우즈베키스탄과 자유무역 체제 도입
ㅇ 투르크메니스탄-우즈베키스탄 간 자유무역 체제가 도입됨(2025년 2월 25일부)
※ 투르크메니스탄 정부-우즈베키스탄 정부 간 무역경제협력협정(2024.7.16. 체결)에 따라 도입
- 동 자유무역 체제 도입으로 △양국 영토 내 생산 상품에 대한 관세 폐지 △상품 교역에 대한 기존의 제한 폐지 △양국 간 교역 절차 간소화 효과 기대
※ (참고) 2024년 투르크메니스탄-우즈베키스탄 간 교역액 11억 4천만 달러(2023년 대비 5.5%↑)
6) 아르카닥 신도시, 환경친화적 스마트 시티로 국제적 인정(3.13.)
ㅇ 3.13.(목) 아르카닥(Arkadag) 신도시에서 아르카닥 신도시를 환경친화적 스마트 시티로 국제적 인정하는 중국 항저우 다이앤지(Dianzi) 대학 인증서 수여식이 개최됨.
- 쿠이언 나이첸(Qian Naicheng) 주투르크메니스탄 중국 대사가 데르야겔디 오라조프(Deryageldi Orazov) 아르카닥 도시 건설위원장에게 동 인증서 수여
2. 주요 에너지·자원 동향
1) 2025년 1~2월 간 대(對)중국 파이프라인 가스 수출국 1위: 러시아
ㅇ 2025년 1월~2월 러시아의 대(對)중국 파이프라인 가스 수출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32.2% 증가한 17.5억 달러로 대(對)중국 파이프라인 가스 수출국 1위로 집계
- 동 기간 투르크메니스탄의 대(對)중국 파이프라인 가스 수출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15.3% 감소한 13.8억 달러로 2위를 기록
※ 중국의 파이프라인 가스 수입액(2025년 1~2월, 총 36.2억 달러): 1위 러시아(17.5억 달러), 2위 투르크메니스탄(13.8억 달러), 3위 미얀마(2억 달러), 4위 카자흐스탄(1억 달러), 5위 우즈베키스탄(0.4억 달러)
ㅇ 2025년 1월 대(對)중국 파이프라인 가스 수출량은 러시아가 3.4bcm, 투르크메니스탄이 2.3bcm을 기록
※ 중앙아시아(투르크메니스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국가들의 2025년 1월 대(對)중국 파이프라인 가스 수출량은 겨울철 국내 수요로 인해 여름철 최대치 대비 약 1bcm 감소
※ 러시아 국영 언론사 TASS 보도(3.20, 중국 관세청 발표 인용)
2) 외교 부총리, 카타르 방문(3.16.)
ㅇ 메레도프 외교 부총리는 3.16.(일) 카타르를 방문하여 셰이크 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빈 자심 알 타니(Sheikh Mohammed bin Abdulrahman bin Jassim Al-Thani) 카타르 총리 겸 외교장관과 회담을 가짐.
- 양측은 에너지·투자·교통을 유망 협력 분야로 언급하고, 특히, TAPI(투르크메니스탄-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인도) 가스 파이프라인 프로젝트의 투르크메니스탄(Serkhetabat)-아프가니스탄(Herat) 구간 건설 진행 상황을 논의함.
3) 튀르키예 에너지 장관, 투르크메니스탄 방문(3.19)
ㅇ 알파르슬란 바이락타르(Alparslan Bayraktar) 튀르키예 에너지·천연자원부 장관은 3.19.(수) 투르크메니스탄을 방문하여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Serdar Berdimuhamedov) 대통령 및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Gurbanguly Berdimuhamedov) 최고지도자 예방, 바티르 아마노프(Batyr Amanov) 석유·가스 부총리 및 막사트 바바예프(Maksat Babayev) 투르크멘 국영가스공사 회장과 회담 일정 등을 수행함.
- (대통령 예방) 양측은 투르크메니스탄산 천연가스를 튀르키예 및 기타 국가에 공급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베르디무하메도프 대통령은 튀르키예와의 에너지 분야 파트너십 강화 의향을 표명함.
- (최고지도자 예방) 베르디무하메도프 최고지도자는 투르크메니스탄산 천연가스를 튀르키예 및 유럽 국가로 수출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언급하였으며, 튀르키예 측의 건설적인 이니셔티브를 지원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표명함.
- (석유가스 부총리 등 예방) 양측은 튀르키예 석유 공사(TPAO: Turkish Petroleum Corporation)의 투르크메니스탄 탄화수소 탐사 참여 등 양국 간 공동 에너지 프로젝트 시행에 대해 논의함.
4) 우즈베키스탄 수자원부 대표단 투르크메니스탄 방문(3.16.)
ㅇ 우즈베키스탄 수자원부 대표단은 3.16.(일) 투르크메니스탄을 방문하여 투르크메니스탄 수자원부 대표들과 아무다리야 강의 수자원 시설 운영 및 현대화, 홍수 조절, 강둑 보호 공사, 수자원의 합리적 이용 등 수자원 분야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아무다리야 강의 유량 감소 방지 등을 위한 프로젝트에 협력하기로 함. 끝.